BOOK BOX
📘 독후감: 『마케팅 불변의 법칙』을 읽고
@BoxLogoDev
2025. 7. 19. 22:37

“SAP 개발자이자, Helpers 개발자로서의 브랜딩과 마케팅을 다시 생각하다”
SAP FI 운영자이자 ABAP 개발자로서 나는 매일같이 기능을 설계하고 프로세스를 구현한다.
동시에 취미 개발 생활로 스타트업 지원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며, 정부지원금 정보를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고민한다. 그러던 중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마케팅 불변의 법칙』은 단순한 마케터의 책이 아니라, ‘포지셔닝 전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실무자의 생존 전략서였다.
✅ 22가지 마케팅 불변의 법칙 + 실무 인사이트
법칙 | 설명 | 내 실무와의 연결 |
1. 리더십의 법칙 | 시장에서 1등이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SAP 풀스텍 개발자 영역에서 선점된 신뢰를 만든다면, 기술력보다 인식이 우선이다. |
2. 카테고리의 법칙 | 선점자가 있다면,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어라. | ‘정부지원금 자동매칭+아이리스 연동’이라는 새 카테고리를 만드는 중이다. |
3. 인식의 법칙 | 제품이 아닌, 인식을 바꾸는 것이 마케팅이다. | 사용자가 느끼는 '간편함'이 SAP 기능보다 중요하다. |
4. 집중의 법칙 | 하나의 단어를 고객의 뇌리에 박아라. | 헬퍼라는 단어로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라고 내 시스템을 인지시키자. |
5. 독점의 법칙 | 이미 다른 브랜드와 연관된 단어는 차지할 수 없다. | 정부지원 매칭은 식상하다보니, 정부지원 헬퍼 라는 도우미 라는 느낌으로 내 시스템을 인식시 킨다. |
6. 사다리의 법칙 | 소비자 인식 안에서 계단마다 전략이 달라야 한다. | AI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 등은 부족하여 1등은 아니더라도 소비자에게 조금더 다가가기 좋은 AI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
7. 상대성의 법칙 | 마케팅 전략은 경쟁자에 따라 달라진다. | 내 서비스의 강점을 타사의 약점과 연결시켜 강조한다. |
8. 이중의 법칙 | 경쟁은 결국 두 명의 싸움으로 좁혀진다. | 예: ‘창업넷’ vs ‘내 플랫폼’처럼 양자 경쟁 구도로 전략화. |
9. 반대의 법칙 | 1등을 정면 공격하지 말고, 그 반대로 포지셔닝하라. | 창업넷이 포괄적이라면, 나는 '맞춤형'으로 간다. |
10. 분할의 법칙 | 시간이 지나면 카테고리는 계속 쪼개진다. | 정부지원금도 ‘창업’, ‘고용’, ‘기술개발’ 등으로 특화 가능. |
11. 시점의 법칙 | 마케팅은 타이밍이다. 빠르면 선점, 늦으면 파괴적 차별. | 많은 BACK OFFICE 들이 SAAS 화가 되기 전 경영지원팀이라는 인력보다 값싸고 빠르게 내가 먼저 들어간다. |
12. 제품확장의 법칙 | 브랜드 확장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 내 플랫폼은 “지원금”에 집중하고, “대출/컨설팅”은 후순위. |
13. 희생의 법칙 | 일부를 포기해야 진짜 집중할 수 있다. | ‘정부정책만’, ‘스타트업만’, ‘R&D만’처럼 대상을 좁힌다. |
14. 속도의 법칙 | 유행은 빠르게 잊힌다. 본질에 집중하라. | SAAS 클라우드 플랫폼 등 트렌드를 쫓기보다, 진짜 ‘자동화 효과’에 집중. |
15. 진실의 법칙 | 부정적인 것도 먼저 인정하면 신뢰를 얻는다. | 예: “완전 자동은 아닙니다. 하지만 80%는 덜어드립니다.” |
16. 독창성의 법칙 | 새로운 것을 최초로 떠올린 사람만 기억된다. | 아이리스 + 정부지원 자동화 조합은 ‘최초’ 타이틀을 노릴 수 있다. |
17. 예측불가의 법칙 | 미래를 예측하려 하지 말고 유연하게 대응하라. | 정부 정책은 예측불가. 대신 대응 구조를 유연하게 설계한다. |
18. 성공의 법칙 | 성공은 자만으로 이어지고, 자만은 실패를 부른다. | 내가 지금 ‘1등 전략’이라고 자만하지 않기. 지속 개선 필요. |
19. 실패의 법칙 | 실패를 인정하고 빠르게 버려야 한다. | 안 되는 기능이나 서비스는 빠르게 드랍하고 피봇. |
20. 과장의 법칙 | 과장된 마케팅은 오히려 역효과다. | “무조건 100% 지원금 매칭” 같은 말은 신뢰를 떨어뜨린다. |
21. 가속의 법칙 | 유행이 아닌 트렌드 위에 올라타라. | AI 자동화, 클린코어, 스마트워크는 유행이 아닌 거대한 흐름이다. |
22. 자원의 법칙 | 아이디어보다 예산이 성공을 결정한다. | 시 제품이 완료되면 최대한 빠르게 자금을 끌도록 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