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로고 입은 개발자

가계처분가능소득 2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 💰가계처분가능소득(PDI)이란? 내 통장에 남는 진짜 돈 이야기!

“내가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을 말해주는 핵심 지표!우리 일상에서 가장 자주 드는 생각 중 하나는“나는 왜 항상 돈이 부족하지?” 아닐까? 🤔정부는 경기 회복을 외치고, 뉴스에서는 경제성장률이 좋아졌다고 하는데막상 우리는 그 효과를 체감하지 못한다면?그 이유는 바로,뉴스에서 말하는 경기지표와 우리가 직접 느끼는 경제는 다르기 때문입니다.그리고 이 간극을 설명해주는 중요한 지표가 바로바로 오늘의 주제! **가계처분가능소득(PDI)**입니다.📌 1. 가계처분가능소득(PDI)이란 무엇인가요?가계처분가능소득(Personal Disposable Income, PDI)은세금이나 사회보장 기여금 등을 제외한 후 가계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월급에서 세금 등 고정비용을 빼고 실제 ..

Economy BOX 2025.07.27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 가계순저축률, 우리 경제의 저축 건강도를 말하다

서론: '우리 가정은 얼마나 저축하고 있을까?'물가가 오르고 소비는 늘어나는데, 정작 저축은 어렵게만 느껴진다. 이럴 때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가계순저축률’이다.하지만 단순히 "얼마를 저축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만은 아니다. 이 지표는 국민의 소비 성향과 재정 여유, 나아가 국가의 재정 건전성까지 반영하는 중요한 수치다.이번 글에서는 가계순저축률이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계산되고, 왜 중요한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려 한다.1️⃣ 가계저축률과 가계순저축률의 차이일반적으로 저축률이란 ‘저축액 ÷ 처분가능소득’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월급 300만 원 중 50만 원을 저축하면 저축률은 약 16.7%다.하지만 ‘가계순저축률’은 단순한 소득 대비 저축액을 넘어서, 보다 포..

Economy BOX 2025.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