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로고 입은 개발자

금융교육 2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 간접금융과 직접금융 💰 어떤 방식이 경제를 움직이는가?

자금은 경제의 혈액입니다. 이 혈액이 원활하게 돌기 위해서는 잉여 자금을 가진 주체(가계, 정부, 일부 기업)와 자금이 필요한 주체(대부분의 기업, 스타트업 등) 간에 원활한 자금 흐름이 일어나야 하죠.이 자금 흐름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바로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입니다.간접금융 (Indirect Financing) 🏦“은행이 중간에서 대신 빌려주는 방식”간접금융은 은행,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같은 금융기관이 중개자 역할을 수행합니다.예를 들어, 내가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은행은 이 자금을 바탕으로 기업에 대출을 해줍니다. 이때, 돈을 빌려준 사람(예금자)과 돈을 빌린 사람(기업)은 서로 알지 못하고, 은행이 모든 위험을 떠안습니다.📌 특징 요약은행이 자금 흐름을 조절..

Economy BOX 2025.07.31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 가계신용통계, 우리 집 신용도는 얼마?

📊 가계신용통계,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듣는 경제 용어 중 하나인 **‘가계신용통계’**에 대해 쉽게 풀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금리가 오르네 마네", "가계부채가 역대 최대!" 라는 뉴스를 보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단골 손님, 바로 가계신용통계죠. 그런데 이 통계가 도대체 뭘 어떻게 측정한 건지, 어디서 제공하는 건지, 왜 중요한 건지 알고 계신가요?💡 가계신용통계란 무엇인가요?가계신용통계는 말 그대로 ‘가계에 제공된 신용의 규모’를 집계한 통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신용’은 단순히 은행 대출만을 의미하지 않아요.✔️ 금융기관(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등)✔️ 정부기관(주택금융공사, 장학재단 등)✔️ 판매회사(할부로 물건 파는 회사들)이런 다양한..

카테고리 없음 2025.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