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로고 입은 개발자

한국은행경제용어 4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 간접금융과 직접금융 💰 어떤 방식이 경제를 움직이는가?

자금은 경제의 혈액입니다. 이 혈액이 원활하게 돌기 위해서는 잉여 자금을 가진 주체(가계, 정부, 일부 기업)와 자금이 필요한 주체(대부분의 기업, 스타트업 등) 간에 원활한 자금 흐름이 일어나야 하죠.이 자금 흐름을 어떻게 연결하느냐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이 존재합니다. 바로 간접금융과 직접금융입니다.간접금융 (Indirect Financing) 🏦“은행이 중간에서 대신 빌려주는 방식”간접금융은 은행,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같은 금융기관이 중개자 역할을 수행합니다.예를 들어, 내가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은행은 이 자금을 바탕으로 기업에 대출을 해줍니다. 이때, 돈을 빌려준 사람(예금자)과 돈을 빌린 사람(기업)은 서로 알지 못하고, 은행이 모든 위험을 떠안습니다.📌 특징 요약은행이 자금 흐름을 조절..

Economy BOX 2025.07.31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 💸 가산금리(스프레드)란?

대출금리는 왜 사람마다 다를까? 그 핵심은 ‘가산금리’에 있다! => 당신에게 적용되는 금리는 ‘신용’과 ‘기간’의 함수다.📌 가산금리란 무엇인가요?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때 단순히 기준금리만 적용되는 것이 아닙니다.여기에 신용등급, 대출기간, 시장 상황, 유동성 리스크 등 여러 요소를 반영하여 덧붙이는 금리가 있는데,이를 **가산금리(Spread)**라고 부릅니다.기준금리 + 가산금리 = 실제 적용금리(대출금리)이 가산금리는 금융기관이 부담할 리스크 프리미엄에 해당합니다.즉, 돈을 빌려줄 때 생길 수 있는 부도 가능성이나 회수 지연 위험 등을 수치로 환산한 것이라 보면 됩니다.📊 신용에 따라 달라지는 가산금리예를 들어 신용등급 AAA 고객은 부도 위험이 매우 낮기 때문에 가산금리가 거의 없거나 ..

Economy BOX 2025.07.30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가교은행이란? 은행을 살리는 은행(?)

🏦 가교은행의 개념가교은행(Bridge Bank)이란, 부실 금융기관이 파산했을 때 해당 기관의 자산과 부채를 임시로 인수하여 예금 및 출금 업무를 계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임시 은행입니다. 한마디로, 금융기관이 갑작스레 문을 닫더라도 고객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금융 시장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금융안정 장치라고 할 수 있죠.가교은행은 법적으로도 한시적 기관으로서 임무를 완수하면 해산됩니다. 하지만 그 임무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단기간에 금융 시스템 내에서 고객 신뢰를 회복하고, 후속 처리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중간 단계 역할을 합니다. 💼 가교은행은 어떻게 운영될까?가교은행은 금융기관이 파산하여 즉각적인 처리가 어려울 경우 설립됩니다. 예금보험공사가 새로운 임시 은행을 설립해 해당 금융기관의 자..

Economy BOX 2025.07.28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가계수지란? 가계의 경제 체력을 보여주는 거울!

"이번 달은 흑자일까, 적자일까?"우리 모두 한 번쯤 해봤을 고민이죠. 💭가계수지는 그 질문에 명확한 답을 주는, 가정의 경제 상태를 수치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이 글에서는 가계수지가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생활에서는 어떤 식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 가계수지란 무엇인가요?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란한 가정의 일정 기간(보통 한 달) 동안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해남는 돈(흑자)이 있는지, 모자란 돈(적자)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쉽게 말하면 이거예요:💡 “이번 달 월급으로 생활하고 남았는가, 아니면 모자라서 카드값이나 대출을 끌어썼는가?”📈 흑자 VS 적자: 차이점은 무엇일까?💹 가계수..

Economy BOX 2025.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