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 BOX

[한국은행 경제용어 700] 💰가계부실위험지수(HDRI)란? 내 집안 경제 건강도 체크하는 방법!

🔍 가계부실위험지수가 뭔가요?

요즘 대출이 많아지고 집값도 오르면서 '우리 집 경제상황이 괜찮을까?' 하는 걱정이 드시죠? 바로 이런 고민을 해결해주는 지표가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Household Debt Risk Index)**입니다.

**HDRI는 쉽게 말해 가정의 '경제 건강검진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병원에서 혈압, 혈당 등을 종합해서 건강상태를 판단하듯이, HDRI는 소득, 부채, 자산을 모두 고려해서 가계의 위험도를 측정해요.

📊 HDRI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HDRI는 두 가지 핵심 지표를 결합해서 만들어집니다:

1️⃣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 소득 대비 얼마나 많은 돈을 갚고 있는지 보는 지표
  • 월소득 300만원인데 대출 원리금을 120만원 갚는다면? → DSR 40%
  • "벌어들이는 돈 중 얼마나 많이 갚고 있나?"

2️⃣ DTA (부채자산비율)

  • 가진 재산 대비 빚이 얼마나 되는지 보는 지표
  • 집값 5억원인데 대출이 5억원이라면? → DTA 100%
  • "재산 대비 빚이 얼마나 많나?"

⚠️ 위험가구 기준은?

**HDRI 지수가 100을 넘으면 '위험가구'**로 분류됩니다. 이는 DSR 40%, DTA 100%일 때 기준값 100으로 설정된 것이에요.

위험가구의 3가지 유형

  1. 🚨 고위험가구: 소득도 부족하고 자산 대비 빚도 많은 상황
  2. 🏠 고DTA가구: 자산 대비 빚이 많은 상황 (주로 부동산 대출)
  3. 💸 고DSR가구: 소득 대비 갚아야 할 돈이 많은 상황

🤔 위험가구라고 당장 망하는 건 아니에요!

중요한 점: 위험가구로 분류되었다고 해서 당장 파산하거나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닙니다. 이는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는 신호등 같은 개념이에요.

  • 🟢 안전: HDRI 100 미만
  • 🟡 주의: HDRI 100 이상 (위험가구)
  • 🔴 위험: 고위험가구

💡 내 HDRI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간단 셀프체크 방법:

  1. 월 소득 계산 (세후소득 기준)
  2. 월 대출 상환액 계산 (원금+이자)
  3. DSR = (월 상환액 ÷ 월 소득) × 100
  4. 총 자산가치 계산 (부동산, 예금 등)
  5. 총 부채액 계산
  6. DTA = (총 부채 ÷ 총 자산) × 100

예시로 계산해보기:

  • 월소득 400만원, 월 상환액 120만원 → DSR 30%
  • 총 자산 6억원, 총 부채 4억원 → DTA 67%

이 경우 두 지표 모두 기준치보다 낮아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

🎯 HDRI가 높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DSR이 높은 경우:

  • 소득 늘리기: 부업, 투잡 고려
  • 지출 줄이기: 가계부 작성, 불필요한 지출 제거
  • 대출 조건 개선: 금리 낮은 곳으로 갈아타기

DTA가 높은 경우:

  • 자산가치 높이기: 부동산 가치 상승 기대 (단, 불확실)
  • 부채 줄이기: 조기상환, 원금 감액
  • 추가 자산 확보: 예적금, 투자 등

📈 최근 한국의 HDRI 현황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HDRI 위험가구 비율도 계속 증가하고 있어요. 특히 부동산 대출이 많은 수도권 지역의 위험도가 높은 상황입니다.

🏁 마무리: 정기적인 점검이 중요해요!

HDRI는 가계 경제상황의 조기경보시스템과 같습니다. 정기적으로 체크해서 미리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기억하세요:

  • 위험가구 = 당장 문제가 있다는 뜻이 아님
  • 주의가 필요한 신호
  • 미리 대비하면 충분히 개선 가능